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6

강원도 소재 대학교 목록 (국공립대, 사립대, 전문대) 국공립대학교대학명주소대표 연락처강원대학교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강원대학길 1033-250-6114강릉원주대학교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죽헌길 7033-640-2114한라대학교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한라대길 28033-760-1114사립대학교대학명주소대표 연락처한림대학교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한림대학길 1033-248-1000상지대학교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상지대길 83033-730-2114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연세대길 1033-760-2114강릉영동대학교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남산초교길 121033-610-6114경동대학교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간성읍 경동대학로 27033-680-1200세경대학교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세경로 65033-370-2114송곡대학교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신북읍 신샘밭.. 2025. 5. 21.
경기도 소재 대학교 목록 (국립, 사립, 전문, 사이버) 국공립대학교대학명캠퍼스 주소대표 연락처경기대학교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광교산로 154-42031-249-9114경기과학기술대학교경기도 시흥시 산기대학로 237031-496-8114국립한경대학교경기도 안성시 중앙로 327031-670-5114한국복지대학교경기도 평택시 청북읍 대학로 20031-610-6114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외대2로 81031-330-4114사립대학교대학명캠퍼스 주소대표 연락처아주대학교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월드컵로 206031-219-2114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로 152031-8005-2114용인대학교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용인대학로 134031-8020-2114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명지로 116031-330-6.. 2025. 5. 21.
서울 소재 대학교 목록 (국공립, 사립, 전문, 사이버 대학) 국공립대학교대학명캠퍼스 주소대표 연락처서울대학교서울 관악구 관악로 102-880-5114서울과학기술대학교서울 노원구 공릉로 23202-970-6114서울시립대학교서울 동대문구 서울시립대로 16302-6490-6114한국예술종합학교서울 서초구 남부순환로 240602-746-9000한국체육대학교서울 송파구 양재대로 123802-410-1114육군사관학교서울 노원구 화랑로 57402-2197-6114한국방송통신대학교서울 종로구 대학로 861577-2853사립대학교대학명캠퍼스 주소대표 연락처고려대학교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02-3290-1114연세대학교서울 서대문구 연세로 5002-2123-2114서강대학교서울 마포구 백범로 3502-705-8114성균관대학교서울 종로구 성균관로 25-202-760-0114한.. 2025. 5. 20.
한국 대학교의 문제점 (지역, 교육, 서열, 경쟁력, 커리어 관리) 1. 학령인구 감소와 지방대 붕괴문제: 학령인구 급감으로 지방대학이 존폐 위기원인: 출산율 저하, 수도권 집중 현상영향: 대학 미달, 정원 감축, 폐교 증가2. 취업과 연계되지 않는 교육과정문제: 실무와 무관한 전공 커리큘럼원인: 이론 중심 교육, 산학협력 부족영향: 졸업 후 취업 미스매치, 스펙 경쟁 심화3. 고등교육 재정의 불균형문제: 등록금 의존도가 높은 사립대 재정 위기원인: 낮은 공공재정 투자, 회계 불투명성영향: 교육 질 저하, 교수 충원 및 연구 투자 부족4. 학벌주의 및 대학 서열화문제: 학벌 중심 사회로 인한 차별원인: 기업 및 사회의 출신대학 중심 문화영향: 지방대 소외, 사회적 불평등 강화5. 연구 경쟁력 부족문제: 국제적으로 낮은 연구 영향력원인: 논문 수 위주의 평가, 기초과학 투.. 2025. 5. 20.
2025학년도 대학입시 전략 및 변화 요약 1. 전체 모집 인원 감소변화 내용: 2025학년도 전체 대학 모집인원은 340,934명으로 전년도 대비 3,362명 감소변화 이유: 학령인구 감소 및 지방대 정원 감축 정책의 일환2. 수시모집 확대변화 내용: 수시 비율 79.6% (정시 20.4%)로 최근 5년 내 최고변화 이유: 고교교육 정상화 및 대학의 우수학생 선점 의지전략: 내신, 비교과, 면접 준비 철저 / 수시 6회 지원 기회 활용3. 수능 과목 지정 폐지 확대변화 내용: 주요 대학 17곳이 수학·과학 지정 과목 폐지변화 이유: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 반영 / 선택권 존중전략: 유리한 과목 선택 / 대학별 반영 방법 검토4. 학교폭력 조치사항 반영 확대변화 내용: 147개 대학이 학폭 조치사항 입시에 반영예: 연세대는 아예 지원 제한, 중앙대.. 2025. 5. 20.
한국 대학교 외국인 유학생 현황 및 입시 제도 (Current Status and Admission System for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n Universities) 1. 외국인 유학생 현황1. Status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한국은 교육 국제화 전략의 일환으로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으며, 2024년 기준 약 18만 7천 명의 유학생이 한국에 체류하고 있습니다.As part of its educational globalization strategy, South Korea actively attracts international students. As of 2024, about 187,000 international students are staying in Korea.국적별 통계By Nationality중국: 약 39% China: approx. 39%베트남: 20% 내외 Vietnam: around 20%우즈베.. 2025. 5. 20.